바다이야기 상어 ® 4.rgu145.top ® 바다이야기 넥슨
페이지 정보
작성자 호남수래 작성일25-08-10 04:45 조회16회 댓글0건관련링크
-
http://17.ruk999.top 1회 연결
-
http://88.rqy115.top 1회 연결
본문
【33.rgu145.top】
1m는 족히 넘어 보이는, 눈앞의 두툼한 물고기를 보며 생각했다. ‘가까이 오지 마라, 가까이 오지 마라….’
괜한 걱정이었나. 저들도 나와 같은 마음인 듯했다. 멀찍이 떨어져 내 눈치만 살피고 있는 것으로 보이니 말이다. 그중 눈빛이 유독 촉촉해 보이는 한 물고기와 눈이 마주친 것 같다. 몸길이가 최대 5m까지도 자 lg 통신요금 란다는 ‘담수어의 제왕’. 아마존 출신 피라루쿠다. 납작한 꼬리에 한 대 맞으면 나 정도는 곧바로 병원에 실려 갈 것이다. 눈에 띄지 말자. 절대, 절대 피라루쿠를 놀라게 해선 안 돼! 나도 모르게 동작이 자꾸 느려졌다.
낮 최고기온이 30도를 가볍게 넘어가는 한여름. 덥다. 그리고 습하다. 바다로 떠나고픈 마음은 굴뚝같으나 여의치 않을 여포 때 도심에서 시원한 물의 기운을 한껏 느낄 수 있는 장소가 있다. 아쿠아리움(수족관)이다. 서울 송파구 한복판에 있는 롯데월드 아쿠아리움을 찾아 아쿠아리스트의 하루를 체험해 봤다. 이 아쿠아리움은 연면적 약 1만1240㎡(3400여 평), 5200여t 규모. 수도권 최대 규모다. 물속 노동을 해 보는 건 처음. 기대만큼 시원할까?
미소금융서민대출
귀여운 화이트트리프로그(호주청개구리)가 귀뚜라미 먹이를 받아 먹고 있다. 낼름낼름 잘도 먹는다. /이건송 영상미디어 기자
먹이를 잘 먹는다는 것은 건강하다는 의미. /이건송 위탁매매계약 영상미디어 기자
◇얘들아, 긴 밤 잘 보냈니?
“보자, 밤사이 잘 있었나.”
개장을 1시간 앞둔 오전 9시. 경력 7년 차 아쿠아리스트 허범석(33)씨가 ‘화이트트리프로그(호주청개구리)’ 사육장을 살피며 말했다. 아열대나 열대 습윤 지역에서 벽과 나무 이파리를 타 농협근로자대출 고 살아가는 녀석들이다. 아쿠아리스트의 하루는 자신이 보살피는 생물의 상태를 확인하며 시작된다. 허씨는 서식 환경이 수중과 연결돼 물과 육지를 오가며 생활하는 양서류·파충류 사육장과 담수어 수조 등 총 26곳을 관리한다.
이날은 이 녀석들 식사하는 날. 먹이는 귀뚜라미로 일주일에 3번, 때에 따라 영양 보충제를 섞어 5~6마리씩을 고루 준다. 허씨를 따라 집게로 귀뚜라미를 집어 개구리 입 근처에 가져다 댔다. 귀뚜라미의 머리 부분을 먼저 삼킬 수 있도록 주는 것이 중요하다고 했다. 귀뚜라미 몸뚱이 끝에는 뾰족 튀어나온 부분이 있어 삼키기 쉽지 않기 때문이란다.
날름날름 잘도 먹는다. 허씨가 흡족한 표정으로 “잘 먹는 것을 보니 건강하다”고 했다. 전시 생물의 건강 지표 중 하나는 ‘먹이 반응’이란다. 개구리가 먹이를 물면 집게를 놓아 먹이를 다 삼킬 수 있도록 해야 하는데 타이밍 맞추기가 쉽지 않다. 결국 다른 사육장에서 타이거샐러맨더·아프리카황소개구리 등을 살피던 허씨가 다시 돌아와 부족해 보이는 먹이를 따로 챙겨 줬다. 난 밤사이 개구리 발자국이 찍힌 사육장 유리나 닦기로.
조유미 기자가 사육장 유리창을 닦고 있다. 밤 사이 개구리들이 활동하며 남긴 발자국이 여기저기. /이건송 영상미디어 기자
◇어류도 비만은 위험해
“이걸 다 매일 손질하세요?”
냉동 창고가 있는 먹이 준비실에 산더미처럼 쌓여 있는 오징어와 청어·꽃게·명태·새우 등을 마주하자마자 나온 질문이었다. 전날 퇴근 전 냉동실에서 냉장고로 옮겨 해동했다고 했다. 사육장과 수조 점검을 마친 아쿠아리스트는 곧바로 생물에게 줄 하루 치 먹이 손질을 시작한다. 롯데월드 아쿠아리스트는 총 30여 명, 그중 어류를 관리하는 아쿠아리스트 1명 기준 손질하는 먹이의 양은 하루 평균 16㎏이다.
배운 대로 먼저 청어의 머리를 뎅강 자른 뒤 뱃살의 볼록한 부분을 일직선으로 잘라 내장을 뺐다. 허씨가 “내장 안에는 기생충 등이 있을 수 있어 모두 제거해야 한다”고 했다. 이어 물고기의 등뼈 아래쪽에 있는 붉은 신장을 흐르는 물에 씻어 긁어냈다. 오징어는 머리와 다리를 분리한 뒤 몸통을 반으로 잘라 역시 내장을 제거. 1차 손질 끝이다.
전날 퇴근 전 냉동 창고에서 냉장고로 옮겨 녹인 먹이들. 오징어와 청어·꽃게·명태·새우 등이 산더미처럼 쌓여 있었다. /이건송 영상미디어 기자
7년차 아쿠아리스트 허범석(33)씨가 생물마다 다른 먹이 급여 방법을 설명하고 있다. /이건송 영상미디어 기자
이걸 언제 다 손질해요~. /이건송 영상미디어 기자
2차 손질을 시작한다. 대형 상어와 가오리 등은 이대로, 입이 상대적으로 작은 바다거북은 3등분, 소형 어류는 엄지손톱 혹은 새끼발톱 크기로 잘라 준다. 벽면에는 ‘나폴레옹피시(큰양놀래기) 먹이. 머리·꼬리 제거한 새우 15~18미. 4~5㎝로 토막 낸 청어 14개, 오징어 다리와 귀(유동적)’ 등이 적힌 인쇄물이 종(種)별로 빼곡하게 붙어 있었다.
청어를 숭덩숭덩 동강 내며 먹이 줄 때 가장 중요한 건 뭔지 물어봤다. “부모가 아이한테 밥 줄 때와 같아요. 위생과 영양 균형이죠”라는 답이 돌아왔다. 어류도 사람처럼 꽃게나 새우 등 갑각류를 굉장히 좋아하지만 매일 주면 살이 찐다고. 컨디션이 좋지 않거나 새로 들어와 적응 중인 녀석들에게 “힘내라”며 주는 경우가 많단다.
말도 못 하는데 컨디션이 좋지 않은 건 어떻게 알 수 있을까. “잘 먹지 않거나 몸의 빛깔이 달라진다”고 했다. 평소 알록달록하던 비늘이 칙칙해지거나 지느러미가 찢어져 있거나 아가미를 너무 빠르게 움직이며 호흡하면 ‘위험’ 신호다. “전시 생물은 언어로 의사를 전달하지 못하지만 행동으로 전달해요. 일상적인 업무에서 꼼꼼하게 확인한다면 생물에게 필요한 것을 비교적 쉽게 알 수 있죠.”
내장에는 기생충 등이 있을 수 있어 모두 제거한다. /이건송 영상미디어 기자
◇물고기를 놀라게 하지 마라
“괜찮아요. 못 하겠으면 몸이 잠기지 않는 작은 수조 청소를 하면 돼요.” 허씨가 말했다. “부담 갖지 말고요.” 잠시 뒤 그가 다시 말했다. “절대 무리하면 안 돼요.” 터널 모양의 대형 민물 수조인 ‘열대우림 강’ 내부 청소를 앞둔 때였다. 스쿠버다이빙 장비를 매고 잠수해야 한다. 물속 생물을 관찰하는 아쿠아리스트 업무 특성상 스쿠버다이빙 자격증은 필수다. 나는 자격증이 있다. 나의 의사를 족히 10번은 물어본 허씨가 마침내 “그럼 다이빙 슈트로 갈아입으시라”고 했다.
당초 가오리와 상어가 노니는 초대형 메인 수조 청소를 희망했으나 안전 문제로 보다 순한(?) 녀석들이 사는 이곳으로 왔다. 너비 7.25m에 깊이 3.5m, 수량 380t 수조에 대형 민물 어종인 파쿠·자이언트 팡가시우스·피라루쿠 등 일곱 종류의 생물 70여 개체가 살고 있다. 가장 큰 개체는 몸길이 1.5m인 피라루쿠. 5년 전 30~40㎝ 정도로 들어왔으나 무럭무럭 자라 담수 존에서 가장 큰 생물로 성장했다고.
난생 처음 들어와보는 비밀의 공간. 아쿠아리스트들은 수조 상층부로 입수한다. 습하고 더웠다. /이건송 영상미디어 기자
스쿠버다이빙 장비를 착용하고 입수하러 가는 길. 아쿠아리스트에게는 스쿠버다이빙 자격증이 필수다. /이건송 영상미디어 기자
조유미 기자가 롯데월드 아쿠아리움의 터널 모양 민물 수조 잠수를 준비하고 있다. /이건송 영상미디어 기자
깊지 않았으나 허우적대거나 미숙한 부력 조절로 물고기를 놀라게 할 수 있다는 것이 문제였다. 이 어류들은 통상 사람을 공격하지 않는다고 알려져 있다. 오히려 피하는 쪽에 가깝다. 그러나 놀란 피라루쿠가 의도치 않게 몸부림을 치며 ‘몸통 박치기’라도 하면 사람 갈비뼈 정도는 가볍게 부술 수 있단다.
갈비뼈의 소중함을 생각하는 것도 잠시, 입수 준비를 시작했다. 덥고 습한 공기가 코를 덮쳤다. 물고기들이 놀랄 수 있기에 조끼와 공기통을 착용하고 물에 뛰어드는 대신 수면 위에서 조심조심 착용했다. 심호흡을 하고 꼬르륵 잠수. 몸이 자꾸 떠오르려 한다. 함께 들어온 11년 차 아쿠아리스트 김지윤(36)씨가 내 상태를 눈치채고 ‘뚫어뻥’ 고무 부분처럼 생긴 장비를 건넸다. 유리 벽면에 고정해 잡고 있으니 그나마 나았다. 또 다른 손으로 해면처럼 생긴 청소 도구를 쥐고 유리와 이음매 등을 닦았다. 일주일에 2번 정도 청소를 하는 덕에 수조 안은 생각보다 깨끗했으나 내려앉은 물때가 있었다.
물고기가 놀랄 수 있어 장비는 수면 위에서 착용한다. /이건송 영상미디어 기자
수조 내부에 낀 물때 청소 중. /이건송 영상미디어 기자
학생들은 날 보며 신기해했다. 나도 신기했다. 수조 밖에서 물고기는 많이 봤어도 수조 안에서 사람을 보는 건 처음이었기 때문. /이건송 영상미디어 기자
'뚫어뻥' 고무 부분처럼 생긴 장비를 벽에 고정하고 잡은 뒤 청소. 몸이 떠오르지 않아 조금 수월했다. /이건송 영상미디어 기자
팔을 몇 차례 움직이지도 않았는데 호흡이 가빠졌다. 물살의 저항력 때문에 팔을 휘두를 때마다 묵직하다. 수온은 25~26도, 그리 높지 않으나 물속에서 땀이 나는 것 같다. 우려와 달리 물고기들은 “시원하게 청소하고 나가소”라고 말하듯 나를 피해 구석에 몰려 있었다. 반면 어린아이들은 수조 밖에서 날 바라보며 신기해했다. 팬 서비스(?) 차원으로 손을 흔들어 본다. 그쪽은 시원하니? 여기는 물속인데 덥구나.
20여 분이 지나 물에서 나왔다. 녹초가 돼 나오는데 허씨가 “그래도 뿌듯하죠? 관람객들이 놀라워하거나 기뻐할 때 가장 보람을 느껴요”라고 했다. 그는 이어 “단순한 전시에 만족하지 않고 생물과 관람객이 교감할 수 있도록 가교 역할을 해내는 것이 아쿠아리스트의 역할”이라고도 했다.
젖은 머리를 털어내고 아쿠아리움 밖으로 나오는 길. 수중 생물의 평온한 하루를 지키는 일이 곧 아쿠아리스트의 하루였다. 수조 속 작은 생태계는 이들의 노력이 있기에 유지된다. 좋은 아쿠아리스트가 되기 위해 필요한 자질을 묻는 질문에 이들은 하나같이 “무엇보다 생물을 사랑하는 마음”이라고 답했다. 도심에서 잊기 쉬운 자연의 경이로움을 새삼 깨달은 하루였다.
바다이야기 상어 ® 59.rgu145.top ® 바다이야기 넥슨
바다이야기 상어 ® 81.rgu145.top ® 바다이야기 넥슨
바다이야기 상어 ® 66.rgu145.top ® 바다이야기 넥슨
바다이야기 상어 ® 22.rgu145.top ® 바다이야기 넥슨
바로가기 go !! 바로가기 go !!
일본 야마토 게임 보물섬릴게임 잭팟 바다게임사이트 오리지날야마토2게임 게임몰 안전 검증 릴게임 황금성9 신천지게임랜드 알라딘릴게임장 야마토3게임 바다시즌7게임 모바일바다이야기 오락실게임 릴게임꽁머니 체리마스터 확률 호게임 소액 슬롯 추천 오리 지날 바다 릴게임사이트 야마토2게임다운로드 릴박스 바다이야기먹튀 황금성게임예시 오리지널야마토2게임 황금성게임후기 바다이야기 예시 종료 잭팟게임 바다이야기환전 릴게임무료 체리마스터 공략 바다이야기 먹튀 돈 받기 황금성오리지널 무료 릴게임 무료야마토 블랙잭하는법 황금성다운로드 바다이야기 게임 슬롯머신 기계 구입 알슬롯 야마토3동영상 오리지널야마토 릴게임보물섬 야마토게임 하기 한국파친코 바다이야기게임하는곳 다빈치게임 신천지게임랜드 슬롯 확률 오션파라 다이스하는방법 88오락실릴게임 바다이야기2 바다이야기 무료게임 다운로드 바둑이라이브 황금성릴게임 슬롯머신 판매 중고 손오공다운로드 야마토게임장 오리지날 야마토 오션파라 다이스 사이트 무료게임 야마토게임공략방법 슬롯총판 손오공릴게임다운로드 온라인오션파라다이스 프라그마틱 슬롯 무료 황금성릴 야마토다운 오션파라다이스 예시 무료백경 체리마스터게임 야마토5게임다운로드 파칭코게임 릴게임 확률 인터넷신천지 파친코 신천지게임하는방법 우주전함야마토2202 야마토게임다운로드 오션파라다이스 먹튀 신천지게임랜드 바다이야기 황금고래 슬롯게임 없습니다. 야마토 게임 오락실 무료온라인게임 황금성오락실게임 슬롯게임 순위 슬롯 릴 게임 야마토온라인주소 황금성 게임 장주소 골드몽 먹튀 황금성 슬롯 카카오야마토먹튀 슬롯추천 바다이야기 무료체험 야마토다운로드 야마토 무료 게임 야마토게임 손오공 릴게임 팡멀티릴게임 릴게임천국 온라인삼국지 오토 배터리게임 파친코게임 슬롯 검증사이트 바다이야기파일 바다이야기상어 릴게임한국 릴게임모바일 야마토 2 다운로드 릴게임추천 야마토 다빈치게임다운로드 바다이야기 먹튀 신고 릴게임검증 알라딘먹튀 슬롯 머신 제작 릴게임신천지사이트 일본경륜 jQuery 슬롯 머신 바다게임사이트 모바일오션 파라 다이스7 체리마스터 다운 pc야마토 어서 와, 수조 청소는 처음이지? 본지 조유미 기자가 서울 송파구 롯데월드 아쿠아리움에서 터널 모양 대형 민물 수조 내부 청소를 하는 모습. /이건송 영상미디어 기자1m는 족히 넘어 보이는, 눈앞의 두툼한 물고기를 보며 생각했다. ‘가까이 오지 마라, 가까이 오지 마라….’
괜한 걱정이었나. 저들도 나와 같은 마음인 듯했다. 멀찍이 떨어져 내 눈치만 살피고 있는 것으로 보이니 말이다. 그중 눈빛이 유독 촉촉해 보이는 한 물고기와 눈이 마주친 것 같다. 몸길이가 최대 5m까지도 자 lg 통신요금 란다는 ‘담수어의 제왕’. 아마존 출신 피라루쿠다. 납작한 꼬리에 한 대 맞으면 나 정도는 곧바로 병원에 실려 갈 것이다. 눈에 띄지 말자. 절대, 절대 피라루쿠를 놀라게 해선 안 돼! 나도 모르게 동작이 자꾸 느려졌다.
낮 최고기온이 30도를 가볍게 넘어가는 한여름. 덥다. 그리고 습하다. 바다로 떠나고픈 마음은 굴뚝같으나 여의치 않을 여포 때 도심에서 시원한 물의 기운을 한껏 느낄 수 있는 장소가 있다. 아쿠아리움(수족관)이다. 서울 송파구 한복판에 있는 롯데월드 아쿠아리움을 찾아 아쿠아리스트의 하루를 체험해 봤다. 이 아쿠아리움은 연면적 약 1만1240㎡(3400여 평), 5200여t 규모. 수도권 최대 규모다. 물속 노동을 해 보는 건 처음. 기대만큼 시원할까?
미소금융서민대출
귀여운 화이트트리프로그(호주청개구리)가 귀뚜라미 먹이를 받아 먹고 있다. 낼름낼름 잘도 먹는다. /이건송 영상미디어 기자
먹이를 잘 먹는다는 것은 건강하다는 의미. /이건송 위탁매매계약 영상미디어 기자
◇얘들아, 긴 밤 잘 보냈니?
“보자, 밤사이 잘 있었나.”
개장을 1시간 앞둔 오전 9시. 경력 7년 차 아쿠아리스트 허범석(33)씨가 ‘화이트트리프로그(호주청개구리)’ 사육장을 살피며 말했다. 아열대나 열대 습윤 지역에서 벽과 나무 이파리를 타 농협근로자대출 고 살아가는 녀석들이다. 아쿠아리스트의 하루는 자신이 보살피는 생물의 상태를 확인하며 시작된다. 허씨는 서식 환경이 수중과 연결돼 물과 육지를 오가며 생활하는 양서류·파충류 사육장과 담수어 수조 등 총 26곳을 관리한다.
이날은 이 녀석들 식사하는 날. 먹이는 귀뚜라미로 일주일에 3번, 때에 따라 영양 보충제를 섞어 5~6마리씩을 고루 준다. 허씨를 따라 집게로 귀뚜라미를 집어 개구리 입 근처에 가져다 댔다. 귀뚜라미의 머리 부분을 먼저 삼킬 수 있도록 주는 것이 중요하다고 했다. 귀뚜라미 몸뚱이 끝에는 뾰족 튀어나온 부분이 있어 삼키기 쉽지 않기 때문이란다.
날름날름 잘도 먹는다. 허씨가 흡족한 표정으로 “잘 먹는 것을 보니 건강하다”고 했다. 전시 생물의 건강 지표 중 하나는 ‘먹이 반응’이란다. 개구리가 먹이를 물면 집게를 놓아 먹이를 다 삼킬 수 있도록 해야 하는데 타이밍 맞추기가 쉽지 않다. 결국 다른 사육장에서 타이거샐러맨더·아프리카황소개구리 등을 살피던 허씨가 다시 돌아와 부족해 보이는 먹이를 따로 챙겨 줬다. 난 밤사이 개구리 발자국이 찍힌 사육장 유리나 닦기로.
조유미 기자가 사육장 유리창을 닦고 있다. 밤 사이 개구리들이 활동하며 남긴 발자국이 여기저기. /이건송 영상미디어 기자
◇어류도 비만은 위험해
“이걸 다 매일 손질하세요?”
냉동 창고가 있는 먹이 준비실에 산더미처럼 쌓여 있는 오징어와 청어·꽃게·명태·새우 등을 마주하자마자 나온 질문이었다. 전날 퇴근 전 냉동실에서 냉장고로 옮겨 해동했다고 했다. 사육장과 수조 점검을 마친 아쿠아리스트는 곧바로 생물에게 줄 하루 치 먹이 손질을 시작한다. 롯데월드 아쿠아리스트는 총 30여 명, 그중 어류를 관리하는 아쿠아리스트 1명 기준 손질하는 먹이의 양은 하루 평균 16㎏이다.
배운 대로 먼저 청어의 머리를 뎅강 자른 뒤 뱃살의 볼록한 부분을 일직선으로 잘라 내장을 뺐다. 허씨가 “내장 안에는 기생충 등이 있을 수 있어 모두 제거해야 한다”고 했다. 이어 물고기의 등뼈 아래쪽에 있는 붉은 신장을 흐르는 물에 씻어 긁어냈다. 오징어는 머리와 다리를 분리한 뒤 몸통을 반으로 잘라 역시 내장을 제거. 1차 손질 끝이다.
전날 퇴근 전 냉동 창고에서 냉장고로 옮겨 녹인 먹이들. 오징어와 청어·꽃게·명태·새우 등이 산더미처럼 쌓여 있었다. /이건송 영상미디어 기자
7년차 아쿠아리스트 허범석(33)씨가 생물마다 다른 먹이 급여 방법을 설명하고 있다. /이건송 영상미디어 기자
이걸 언제 다 손질해요~. /이건송 영상미디어 기자
2차 손질을 시작한다. 대형 상어와 가오리 등은 이대로, 입이 상대적으로 작은 바다거북은 3등분, 소형 어류는 엄지손톱 혹은 새끼발톱 크기로 잘라 준다. 벽면에는 ‘나폴레옹피시(큰양놀래기) 먹이. 머리·꼬리 제거한 새우 15~18미. 4~5㎝로 토막 낸 청어 14개, 오징어 다리와 귀(유동적)’ 등이 적힌 인쇄물이 종(種)별로 빼곡하게 붙어 있었다.
청어를 숭덩숭덩 동강 내며 먹이 줄 때 가장 중요한 건 뭔지 물어봤다. “부모가 아이한테 밥 줄 때와 같아요. 위생과 영양 균형이죠”라는 답이 돌아왔다. 어류도 사람처럼 꽃게나 새우 등 갑각류를 굉장히 좋아하지만 매일 주면 살이 찐다고. 컨디션이 좋지 않거나 새로 들어와 적응 중인 녀석들에게 “힘내라”며 주는 경우가 많단다.
말도 못 하는데 컨디션이 좋지 않은 건 어떻게 알 수 있을까. “잘 먹지 않거나 몸의 빛깔이 달라진다”고 했다. 평소 알록달록하던 비늘이 칙칙해지거나 지느러미가 찢어져 있거나 아가미를 너무 빠르게 움직이며 호흡하면 ‘위험’ 신호다. “전시 생물은 언어로 의사를 전달하지 못하지만 행동으로 전달해요. 일상적인 업무에서 꼼꼼하게 확인한다면 생물에게 필요한 것을 비교적 쉽게 알 수 있죠.”
내장에는 기생충 등이 있을 수 있어 모두 제거한다. /이건송 영상미디어 기자
◇물고기를 놀라게 하지 마라
“괜찮아요. 못 하겠으면 몸이 잠기지 않는 작은 수조 청소를 하면 돼요.” 허씨가 말했다. “부담 갖지 말고요.” 잠시 뒤 그가 다시 말했다. “절대 무리하면 안 돼요.” 터널 모양의 대형 민물 수조인 ‘열대우림 강’ 내부 청소를 앞둔 때였다. 스쿠버다이빙 장비를 매고 잠수해야 한다. 물속 생물을 관찰하는 아쿠아리스트 업무 특성상 스쿠버다이빙 자격증은 필수다. 나는 자격증이 있다. 나의 의사를 족히 10번은 물어본 허씨가 마침내 “그럼 다이빙 슈트로 갈아입으시라”고 했다.
당초 가오리와 상어가 노니는 초대형 메인 수조 청소를 희망했으나 안전 문제로 보다 순한(?) 녀석들이 사는 이곳으로 왔다. 너비 7.25m에 깊이 3.5m, 수량 380t 수조에 대형 민물 어종인 파쿠·자이언트 팡가시우스·피라루쿠 등 일곱 종류의 생물 70여 개체가 살고 있다. 가장 큰 개체는 몸길이 1.5m인 피라루쿠. 5년 전 30~40㎝ 정도로 들어왔으나 무럭무럭 자라 담수 존에서 가장 큰 생물로 성장했다고.
난생 처음 들어와보는 비밀의 공간. 아쿠아리스트들은 수조 상층부로 입수한다. 습하고 더웠다. /이건송 영상미디어 기자
스쿠버다이빙 장비를 착용하고 입수하러 가는 길. 아쿠아리스트에게는 스쿠버다이빙 자격증이 필수다. /이건송 영상미디어 기자
조유미 기자가 롯데월드 아쿠아리움의 터널 모양 민물 수조 잠수를 준비하고 있다. /이건송 영상미디어 기자
깊지 않았으나 허우적대거나 미숙한 부력 조절로 물고기를 놀라게 할 수 있다는 것이 문제였다. 이 어류들은 통상 사람을 공격하지 않는다고 알려져 있다. 오히려 피하는 쪽에 가깝다. 그러나 놀란 피라루쿠가 의도치 않게 몸부림을 치며 ‘몸통 박치기’라도 하면 사람 갈비뼈 정도는 가볍게 부술 수 있단다.
갈비뼈의 소중함을 생각하는 것도 잠시, 입수 준비를 시작했다. 덥고 습한 공기가 코를 덮쳤다. 물고기들이 놀랄 수 있기에 조끼와 공기통을 착용하고 물에 뛰어드는 대신 수면 위에서 조심조심 착용했다. 심호흡을 하고 꼬르륵 잠수. 몸이 자꾸 떠오르려 한다. 함께 들어온 11년 차 아쿠아리스트 김지윤(36)씨가 내 상태를 눈치채고 ‘뚫어뻥’ 고무 부분처럼 생긴 장비를 건넸다. 유리 벽면에 고정해 잡고 있으니 그나마 나았다. 또 다른 손으로 해면처럼 생긴 청소 도구를 쥐고 유리와 이음매 등을 닦았다. 일주일에 2번 정도 청소를 하는 덕에 수조 안은 생각보다 깨끗했으나 내려앉은 물때가 있었다.
물고기가 놀랄 수 있어 장비는 수면 위에서 착용한다. /이건송 영상미디어 기자
수조 내부에 낀 물때 청소 중. /이건송 영상미디어 기자
학생들은 날 보며 신기해했다. 나도 신기했다. 수조 밖에서 물고기는 많이 봤어도 수조 안에서 사람을 보는 건 처음이었기 때문. /이건송 영상미디어 기자
'뚫어뻥' 고무 부분처럼 생긴 장비를 벽에 고정하고 잡은 뒤 청소. 몸이 떠오르지 않아 조금 수월했다. /이건송 영상미디어 기자
팔을 몇 차례 움직이지도 않았는데 호흡이 가빠졌다. 물살의 저항력 때문에 팔을 휘두를 때마다 묵직하다. 수온은 25~26도, 그리 높지 않으나 물속에서 땀이 나는 것 같다. 우려와 달리 물고기들은 “시원하게 청소하고 나가소”라고 말하듯 나를 피해 구석에 몰려 있었다. 반면 어린아이들은 수조 밖에서 날 바라보며 신기해했다. 팬 서비스(?) 차원으로 손을 흔들어 본다. 그쪽은 시원하니? 여기는 물속인데 덥구나.
20여 분이 지나 물에서 나왔다. 녹초가 돼 나오는데 허씨가 “그래도 뿌듯하죠? 관람객들이 놀라워하거나 기뻐할 때 가장 보람을 느껴요”라고 했다. 그는 이어 “단순한 전시에 만족하지 않고 생물과 관람객이 교감할 수 있도록 가교 역할을 해내는 것이 아쿠아리스트의 역할”이라고도 했다.
젖은 머리를 털어내고 아쿠아리움 밖으로 나오는 길. 수중 생물의 평온한 하루를 지키는 일이 곧 아쿠아리스트의 하루였다. 수조 속 작은 생태계는 이들의 노력이 있기에 유지된다. 좋은 아쿠아리스트가 되기 위해 필요한 자질을 묻는 질문에 이들은 하나같이 “무엇보다 생물을 사랑하는 마음”이라고 답했다. 도심에서 잊기 쉬운 자연의 경이로움을 새삼 깨달은 하루였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