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션파라다이스릴게임 ㅙ 96.rhf865.top ㅙ 온라인 황금성
페이지 정보
written by 호남수래 작성일25-05-18 19:31 view7회 comment0건관련링크
-
http://4.rus795.top 1회 연결
-
http://83.rcu914.top 1회 연결
본문
【26.rhf865.top】
주택담보대출이자
드론으로 촬영한 충북 단양의 죽령 옛길숲. (사진=단양국유림관리소 제공)
[단양=이데일리 박진환 기자] 매년 봄이면 철쭉으로 유명한 소백산은 충북 단양과 경북 영주에 걸쳐 자리잡은 명산 중의 명산이다. 322㎢의 면적으로 지리산, 설악산, 오 기아자동차 9윌 구매혜택 대산에 이어 4번째로 넓다. 1987년 우리나라 18번째 국립공원으로 지정됐다. 한반도의 대동맥인 백두대간(白頭大幹)은 태백산을 지난 뒤 남서쪽으로 방향을 틀면서 소백산을 조성했다.
소백산 산길 중 경북 영주 풍기읍 수철리에서 충북 단양군 대강면을 넘어가는 험준한 고갯길이 바로 죽령이다. 지난 2000여년 동안 문경새재 금융계산 , 영동 추풍령과 함께 교통의 요지였다. 바람이 거세고 소낙비가 거세고 도둑이 거세다고 해서 ‘삼재령’이라고도 했고 풍치가 아름답고 길손이 반갑고 주막 인심이 좋다고 해서 ‘삼풍’이라고도 불렸다.
소백산 국립공원 입구에 설치된 죽령 표시판. (사진=박진환 기자)
은행 자동차 할부
바보 온달·신라의 마지막 경순왕·퇴계 이황 등 2000여년 역사·전설이 만나는 길
이 일대는 고구려, 백제, 신라가 치열하게 영토싸움을 벌이던 삼국시대 군사적 요충지였다. 삼국사기에는 ‘신라 아달라왕 5년(158년)에 춘사 죽죽(竹竹)이 길을 열었고 근로자생애최초주택구입 고구려 장수왕(450년경) 때는 고구려의 영토였으며 신라 진흥왕(551년) 때 다시 신라가 회복했다’고 기록돼 있다.
삼국 통일 직전 고구려 평원왕의 사위이며 장군인 바보 온달이 아내 평강공주와 왕에게 신라에 빼앗긴 땅을 회복하지 않고는 돌아가지 않겠다며 다짐하고 출전해 전사한 장소가 바로 죽령이다. 반대로 죽령 전투에서 승리한 것을 계기로 신라의 김유신은 중원 땅(충주)에 삼국통일 기념탑을 세웠다고 한다.
고구려 군사들이 넘어다녔고 잃었던 땅을 되찾은 신라군과 견훤을 물리친 고려의 왕건, 나라를 몽땅 바친 경순왕도 눈물을 흘리며 죽령을 넘어 개성으로 갔다. 이후 조선조에서는 영남에서 한양으로 가던 선비들은 물론 온갖 장사꾼들이 넘나들었다. 오가는 사람이 많으니 이 일대 주막은 사시사철 문전성시를 이뤘다고 한다.
퇴계 이황도 이 길과 연관이 깊다. 조선 명종 3~4년(서기 1548~1549년) 풍기군수였던 이황은 자신의 형 온계를 이 길에서 마중하고 배웅했다고 한다. 당시 충청감사였던 온계는 고향인 예안을 가던 중 퇴계와 이곳 죽령에서 형제의 우애를 다졌다.
그러나 이 길은 우리나라 산업화의 역사와 함께 점점 잊혀져 갔다. 1940년대 중앙선 철도가 개통되면서 고갯길을 넘나드는 발길이 점점 줄었고 1960년대를 거쳐 2001년 국내 최장터널인 죽령터널이 생기면서 죽령 옛길은 점점 길이 아닌 역사이자 추억이 됐다.
충북 단양군 대강면 용부원 2리에 있는 대한민국 100대 명품숲 표시목. (사진=박진환 기자)
죽령 옛길 복원…대한민국 100대 명품숲·가족들과 함께 걷기 좋은 국립공원 길 선정
과거 교통의 요지였던 지위는 상실했지만 숲이 주는 혜택은 지역 산촌경제의 핵심이다. 소백산역에서 오르는 죽령 옛길이 복원되면서 이 길을 걷는 방문객들도 늘고 있다. 경북 영주시가 소백산역에서 죽령주막에 이르는 2.5㎞를 복원한 옛길은 2007년에 명승 제30호로 지정됐다.
옛길은 생태공원과 산책로, 역사탐방을 겸해 복원된 완만한 등산로이다. 소백산 자락 아랫마을인 수철리 마을에서 길을 따라 소백산역 방향으로 10여분쯤 걸으면 죽령 옛길이 시작된다. 이 길은 소백산 자락길 중 한 코스로 소백산역부터 느티쟁이주막, 주점터를 거쳐 죽령주막까지 2.8㎞가량 이어진다.
중앙선 철길과 나란히 누운 길을 따라 걸으면 죽령 옛길 표지판이 보인다. 숲길에는 낙엽송과 인공림, 참나무 등이 빼곡했다. 쭉쭉 뻗은 낙엽송이 장쾌하고 시원스럽다. 아름다운 죽령 옛길은 2023년 산림청이 선정한 100대 명품숲에 포함됐고 지난해에는 국립공원공단이 선정한 가을철 가족들과 함께 걷기 좋은 국립공원 길 7선에도 이름을 올렸다.
충북 단양군 대강면 용부원 2리에 거주하는 김일산 마을 이장이 고로쇠 수액을 용기에 담고 있다. (사진=박진환 기자)
고로쇠 등 임산물은 숲이 주민에 주는 선물…주민들은 산불 예방 등 숲 지킴이로 상생
죽령 옛길은 이 일대 거주하는 주민들에게 삶의 터전이자 자연이 주는 선물이다. 매년 겨울에서 봄으로 넘어가는 시즌에는 고로쇠 채취가 이 일대 주민들에게 큰 수입원이기 때문이다. 충북 단양군 대강면 용부원 2리에서 평생 살고 있는 김일산(65) 마을 이장은 “산림청이 국유림에서 주민들에게 임산물 채취 등을 허용해 줬고 그 댓가로 산불 예방 및 산림 병해충 고지 등의 업무를 도와주고 있다”고 설명했다.
김 이장은 “2007년부터는 산림청의 백두대간 사업에 동참, 산에서 채취한 고로쇠를 생산·유통할 수 있는 시설도 도입했다”며 “과거 17가구가 살았던 마을은 이제 5가구밖에 남지 않았지만 주민 소득사업으로 잘 활용하고 있다”고 전했다.
용부원 2리 주민들이 매년 고로쇠 채취로 벌어들이는 매출은 2400만원 정도였지만 이상기후로 고로쇠 채취량이 점점 줄고 있다. 김 이장은 “예전에는 4월까지도 고로쇠 수액을 채취했지만 이제는 일찍 끝난다”며 “봄부터 여름까지는 산에서 자생하는 취나물이나 잣 등의 임산물을 채취해 생계에 보탬이 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주민들이 숲에게 받는 만큼 숲을 지키는 일에도 가장 앞장을 서고 있다. 김 이장은 “산에 무단으로 들어가는 방문객들을 막고 환경 정화 활동을 주도적으로 하고 있다”며 “국유림이자 국립공원으로 지정된 산에 들어가 무단으로 임산물을 채취하거나 산불 위험이 있는 방문객들을 감시하는 일이 쉽지는 않지만 숲을 잘 관리해야 한다는 사명감으로 주민들이 모두 동참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다만 국립공원으로 지정된 지역이라는 한계로 각종 규제를 받고 있다는 점은 주민들의 삶을 어렵게 만드는 요인이다. 주민들은 “국립공원으로 보호할 필요도 있지만 주민들 입장에서는 규제들이 좀 완화돼 서로 상생할 수 있는 방안들이 도출되길 바란다”면서 “국유림이자 국립공원으로 이중·삼중의 규제를 받는 점은 개선됐으면 한다”고 입을 모았다.
박진환 (pow17@edaily.co.kr)
오션파라다이스릴게임 ㅙ 34.rhf865.top ㅙ 온라인 황금성
오션파라다이스릴게임 ㅙ 34.rhf865.top ㅙ 온라인 황금성
오션파라다이스릴게임 ㅙ 4.rhf865.top ㅙ 온라인 황금성
오션파라다이스릴게임 ㅙ 79.rhf865.top ㅙ 온라인 황금성
바로가기 go !! 바로가기 go !!
황금성어플 황금성3게임연타 황금성3게임공략법 빠찡코 하는 방법 검증완료릴게임 잭팟 야마토2게임주소 바다이야기 하는법 씨엔조이게임 바다이야기 야마토게임기 실시간파워볼 릴게임 황금성릴게임 바다이야기디시 바다이야기pc버전다운 용의 눈 게임 우주전함 야마토 2199 카지노 슬롯머신 규칙 Pg 소프트 무료 체험 한게임바둑이 황금성게임후기 온라인빠찡고 오공슬롯 슬롯머신 알고리즘 바다이야기고래출현 게임바둑이추천 바다이야기예시 바다이야기 고래 황금성게임다운 바다이야기꽁머니환전 고전릴게임 프라그마틱 체험 릴게임 먹튀보증 체리마스터 릴게임 체리게임주소 모바일 릴게임 바다이야기꽁머니환전윈윈 무료야마토 바다이야기 무료머니 황금성9 오션슬롯 먹튀 야마토게임 방법 릴게임가입머니 오션파라 다이스게임 하는법 손오공릴게임 황금성하는곳 릴게임 확률 신천지사이트 야마토3다운로드게임사이트 야먀토5 오션파라다이스동영상 바다이야기사이트 인터넷오션게임 야마토2게임다운로드 온라인 슬롯 하는 법 프라그마틱 슬롯 릴게임용의눈 황금성 인터넷야마토 황금성3 럭키세븐 빠칭코게임 카지노 슬롯머신 전략 신천지무료 모바일오션파라다이스7 릴게임오션파라다이스 바다이야기하는곳 바다이야기 2화 슬롯나라 릴게임바다이야기 릴야마토 무료바다이야기게임 슬롯무료체험 야마토5게임공략법 야마토2 온라인 런처 야마토오락실게임 바다이야기시즌7 바다이야기하는곳 강원랜드 슬롯머신 하는법 야마토3동영상 무료슬롯머신 무료슬롯사이트 사이다 릴게임 오션파라다이스다운로드 슬롯머신 판매 중고 바다이야기 슬롯 오션파라다이스7하는곳 상품권릴게임 야마토게임2 릴게임 정보 일본야마토게임 놀이터 릴박스 릴게임 꽁머니 슬롯머신 원리 슬롯머신 무료체험 무료충전릴게임 빠칭코 야마토게임 무료 다운 받기 우주전함 야마토 2199 야마토5게임 기 바다이야기 상어 바다이야기꽁머니 매장판 카지노 슬롯머신 적토마게임 릴게임먹튀검증 방법 오션슬롯주소 릴게임뜻 골드몽 먹튀 야마토하는법 체리마스터 비법 카지노 슬롯머신 종류 프라그마틱 슬롯 팁 바다이야기상어 온라인식보 온라인슬롯 전략 야마토5게임다운로드 바다이야기 게임 방법 황금성3게임다운로드 바다이야기pc게임 골드몽먹튀 꽁머니릴게임 바다이야기게임다운 고전릴게임 슬롯머신 무료 산과 숲의 의미와 가치가 변화하고 있다. 가치와 의미의 변화는 역사에 기인한다. 일제강점기와 한국전쟁을 거치면서 황폐화한 산을 다시 푸르게 만들기 위해 우리는 어렵고 힘든 50년이라는 혹독한 시간을 보냈다. 산림청으로 일원화된 정부의 국토녹화 정책은 영민하게 집행됐고 불과 반세기 만에 전 세계 유일무이한 국토녹화를 달성했다. 이제 진정한 산림선진국으로 가기 위해서는 산림을 자연인 동시에 자원으로 인식해야 한다. 이데일리는 지난해 산림청이 선정한 대한민국 100대 명품 숲을 탐방, 숲을 플랫폼으로 지역 관광자원, 산림문화자원, 레포츠까지 연계해 지역 경제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을 모두 100회에 걸쳐 기획 보도하고 지역주민들의 삶을 조명하고자 한다. <편집자주>주택담보대출이자
드론으로 촬영한 충북 단양의 죽령 옛길숲. (사진=단양국유림관리소 제공)
[단양=이데일리 박진환 기자] 매년 봄이면 철쭉으로 유명한 소백산은 충북 단양과 경북 영주에 걸쳐 자리잡은 명산 중의 명산이다. 322㎢의 면적으로 지리산, 설악산, 오 기아자동차 9윌 구매혜택 대산에 이어 4번째로 넓다. 1987년 우리나라 18번째 국립공원으로 지정됐다. 한반도의 대동맥인 백두대간(白頭大幹)은 태백산을 지난 뒤 남서쪽으로 방향을 틀면서 소백산을 조성했다.
소백산 산길 중 경북 영주 풍기읍 수철리에서 충북 단양군 대강면을 넘어가는 험준한 고갯길이 바로 죽령이다. 지난 2000여년 동안 문경새재 금융계산 , 영동 추풍령과 함께 교통의 요지였다. 바람이 거세고 소낙비가 거세고 도둑이 거세다고 해서 ‘삼재령’이라고도 했고 풍치가 아름답고 길손이 반갑고 주막 인심이 좋다고 해서 ‘삼풍’이라고도 불렸다.
소백산 국립공원 입구에 설치된 죽령 표시판. (사진=박진환 기자)
은행 자동차 할부
바보 온달·신라의 마지막 경순왕·퇴계 이황 등 2000여년 역사·전설이 만나는 길
이 일대는 고구려, 백제, 신라가 치열하게 영토싸움을 벌이던 삼국시대 군사적 요충지였다. 삼국사기에는 ‘신라 아달라왕 5년(158년)에 춘사 죽죽(竹竹)이 길을 열었고 근로자생애최초주택구입 고구려 장수왕(450년경) 때는 고구려의 영토였으며 신라 진흥왕(551년) 때 다시 신라가 회복했다’고 기록돼 있다.
삼국 통일 직전 고구려 평원왕의 사위이며 장군인 바보 온달이 아내 평강공주와 왕에게 신라에 빼앗긴 땅을 회복하지 않고는 돌아가지 않겠다며 다짐하고 출전해 전사한 장소가 바로 죽령이다. 반대로 죽령 전투에서 승리한 것을 계기로 신라의 김유신은 중원 땅(충주)에 삼국통일 기념탑을 세웠다고 한다.
고구려 군사들이 넘어다녔고 잃었던 땅을 되찾은 신라군과 견훤을 물리친 고려의 왕건, 나라를 몽땅 바친 경순왕도 눈물을 흘리며 죽령을 넘어 개성으로 갔다. 이후 조선조에서는 영남에서 한양으로 가던 선비들은 물론 온갖 장사꾼들이 넘나들었다. 오가는 사람이 많으니 이 일대 주막은 사시사철 문전성시를 이뤘다고 한다.
퇴계 이황도 이 길과 연관이 깊다. 조선 명종 3~4년(서기 1548~1549년) 풍기군수였던 이황은 자신의 형 온계를 이 길에서 마중하고 배웅했다고 한다. 당시 충청감사였던 온계는 고향인 예안을 가던 중 퇴계와 이곳 죽령에서 형제의 우애를 다졌다.
그러나 이 길은 우리나라 산업화의 역사와 함께 점점 잊혀져 갔다. 1940년대 중앙선 철도가 개통되면서 고갯길을 넘나드는 발길이 점점 줄었고 1960년대를 거쳐 2001년 국내 최장터널인 죽령터널이 생기면서 죽령 옛길은 점점 길이 아닌 역사이자 추억이 됐다.
충북 단양군 대강면 용부원 2리에 있는 대한민국 100대 명품숲 표시목. (사진=박진환 기자)
죽령 옛길 복원…대한민국 100대 명품숲·가족들과 함께 걷기 좋은 국립공원 길 선정
과거 교통의 요지였던 지위는 상실했지만 숲이 주는 혜택은 지역 산촌경제의 핵심이다. 소백산역에서 오르는 죽령 옛길이 복원되면서 이 길을 걷는 방문객들도 늘고 있다. 경북 영주시가 소백산역에서 죽령주막에 이르는 2.5㎞를 복원한 옛길은 2007년에 명승 제30호로 지정됐다.
옛길은 생태공원과 산책로, 역사탐방을 겸해 복원된 완만한 등산로이다. 소백산 자락 아랫마을인 수철리 마을에서 길을 따라 소백산역 방향으로 10여분쯤 걸으면 죽령 옛길이 시작된다. 이 길은 소백산 자락길 중 한 코스로 소백산역부터 느티쟁이주막, 주점터를 거쳐 죽령주막까지 2.8㎞가량 이어진다.
중앙선 철길과 나란히 누운 길을 따라 걸으면 죽령 옛길 표지판이 보인다. 숲길에는 낙엽송과 인공림, 참나무 등이 빼곡했다. 쭉쭉 뻗은 낙엽송이 장쾌하고 시원스럽다. 아름다운 죽령 옛길은 2023년 산림청이 선정한 100대 명품숲에 포함됐고 지난해에는 국립공원공단이 선정한 가을철 가족들과 함께 걷기 좋은 국립공원 길 7선에도 이름을 올렸다.
충북 단양군 대강면 용부원 2리에 거주하는 김일산 마을 이장이 고로쇠 수액을 용기에 담고 있다. (사진=박진환 기자)
고로쇠 등 임산물은 숲이 주민에 주는 선물…주민들은 산불 예방 등 숲 지킴이로 상생
죽령 옛길은 이 일대 거주하는 주민들에게 삶의 터전이자 자연이 주는 선물이다. 매년 겨울에서 봄으로 넘어가는 시즌에는 고로쇠 채취가 이 일대 주민들에게 큰 수입원이기 때문이다. 충북 단양군 대강면 용부원 2리에서 평생 살고 있는 김일산(65) 마을 이장은 “산림청이 국유림에서 주민들에게 임산물 채취 등을 허용해 줬고 그 댓가로 산불 예방 및 산림 병해충 고지 등의 업무를 도와주고 있다”고 설명했다.
김 이장은 “2007년부터는 산림청의 백두대간 사업에 동참, 산에서 채취한 고로쇠를 생산·유통할 수 있는 시설도 도입했다”며 “과거 17가구가 살았던 마을은 이제 5가구밖에 남지 않았지만 주민 소득사업으로 잘 활용하고 있다”고 전했다.
용부원 2리 주민들이 매년 고로쇠 채취로 벌어들이는 매출은 2400만원 정도였지만 이상기후로 고로쇠 채취량이 점점 줄고 있다. 김 이장은 “예전에는 4월까지도 고로쇠 수액을 채취했지만 이제는 일찍 끝난다”며 “봄부터 여름까지는 산에서 자생하는 취나물이나 잣 등의 임산물을 채취해 생계에 보탬이 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주민들이 숲에게 받는 만큼 숲을 지키는 일에도 가장 앞장을 서고 있다. 김 이장은 “산에 무단으로 들어가는 방문객들을 막고 환경 정화 활동을 주도적으로 하고 있다”며 “국유림이자 국립공원으로 지정된 산에 들어가 무단으로 임산물을 채취하거나 산불 위험이 있는 방문객들을 감시하는 일이 쉽지는 않지만 숲을 잘 관리해야 한다는 사명감으로 주민들이 모두 동참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다만 국립공원으로 지정된 지역이라는 한계로 각종 규제를 받고 있다는 점은 주민들의 삶을 어렵게 만드는 요인이다. 주민들은 “국립공원으로 보호할 필요도 있지만 주민들 입장에서는 규제들이 좀 완화돼 서로 상생할 수 있는 방안들이 도출되길 바란다”면서 “국유림이자 국립공원으로 이중·삼중의 규제를 받는 점은 개선됐으면 한다”고 입을 모았다.
박진환 (pow17@edaily.co.kr)
comment list
no comment